- 한의학과 건강
- Korean medicine and health
알기쉬운 한의학
- 한의학과 건강
- 알기쉬운 한의학
|
|
---|---|
설과 추석 명절을 보내고 이혼율이 증가했다는 흥미로운 통계가 있다. 가족과 친지가 모여서 덕담과 음식을 나누며, 조상에게 은덕을 올려야 하는데 망극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렇듯, 명절이 가까워지면 많은 사람들이, 특히 주부들이 불안, 초조, 우울, 불면, 위장장애, 호흡곤란 등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정신적·신체적 증상을 호소한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러한 명절증후군이 비단 주부뿐 아니라 남자들이나 학생들에게도 적용된다는 점이다. ◇ 평소보다 조금 일찍 잠자리에 들고 기상 시간은 일정하게 유지하자 직장인은 출근 첫날 업무량을 조금 줄이고 중요한 결정은 잠시 미룬다. 점심시간 등을 이용해 잠깐 낮잠을 자는 것도 생산성을 올리는 방법이지만 30분 이상 낮잠을 자면 밤잠을 설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 조금 일찍 퇴근해 음악감상을 하거나 산책과 스트레칭 등 가벼운 운동으로 몸을 푸는 것도 좋다. 이밖에도 특히 똑같은 자세로 앉아있거나 서 있는 자세는 되도록 피하고 최대한 몸 동작을 크게 해 스트레칭을 해보는 것도 좋다.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데는 충분한 휴식이 최고인데, 만약 급성허리 통증이 심하게 나타난다면 초기에는 냉찜질을 하고 차차 온찜질을 병행하는 게 효과적이다. 또한 설 연휴에 쌓인 피로를 풀 수 있도록 따뜻한 목욕도 좋다. 목욕 하면서 느끼는 편안함은 정신적인 긴장도 완화시켜주고 기분까지 전환해주니 스트레스를 풀어준다. 특히 손발이 차다면 당귀나 천궁뿌리 말린 것, 혹은 유자를 넣은 물에 목욕을 하면 혈액순환을 높여 스트레스와 냉증 개선에 도움이 된다. 아울러 가장 중요한 것이 가족의 격려와 배려가 필수이다. 항상 여성들만의 몫이라 여겼던 명절 가사노동, 이번 기회에 가족 구성원 간에 서로의 고생과 수고를 칭찬해 주고 격려해 주는 기회로 삼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운전하느라 무거운 짐드느라 고생했던 남편들에게도 격려 한마디, 음식 준비하느라 설거지하느라 분주했던 아내들에게도 수고 한마디 서로 격려하며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마음이 무엇보다 명절증후군을 이겨내는 방법 아닐까요? ![]()
|
이전글 | 해마다 찾아오는 감기 - 감기도 순서가 있다. |
다음글 | “참지 말고 바꾸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