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의학과 건강
- Korean medicine and health
알기쉬운 한의학
- 한의학과 건강
- 알기쉬운 한의학
|
|
---|---|
한의학에서 보(補)한다고 하는 것은 우리 몸의 기능 중 부족한 부분을 치료하는 방법, 즉 지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적당한 건강 상태를 유지하도록 몸의 조화를 돕는 방법으로 정의되고 보약이란 그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일체의 한약을 말한다. 보통 아이가 생후 6개월쯤 지나게 되면 면역기능이 떨어져서 감기 등의 감염이 자주 발생되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보약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생후 6개월에서 1년 6개월 사이가 최초로 보약을 사용할 수 있는 적당한 시기가 된다. 일반적으로 보약이라 함은 녹용을 가미한 약으로 알고 있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다. 오히려 증상에 따른 허약한 장부의 기능을 개선하는 한약을 복용하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보약이 된다. 특히 소화기계가 약한 경우 이에 대한 조치가 우선되어야 하는데 소화흡수에 장애가 있는 경우 보약이 제대로 흡수되지 못하고 배설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는 평소에 먹는 음식이나 영양물질도 흡수할 수 없는 상태가 지속되어 왔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각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보약을 먹는 시기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게 되는데 보호자들은 보통 봄과 가을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한의학에서 봄은 만물이 소생하는 기운을 받아 아이들이 성장하는 시기이고 가을은 아이들의 영양 섭취가 잘 이루어져서 체중이 늘고 튼튼해지는 시기로 표현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봄과 가을에 보약을 먹는 것이 우선적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이것은 원칙적인 이야기일 뿐이다. 여름에 보약을 먹으면 땀으로 다 빠져나가 버린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으나 동의보감에서는 오히려 ‘여름에는 기력을 보충하는 치료를 기본으로 해야 한다’라고 여름철 보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실제로 잦은 감기에 시달리는 아이들의 경우에는 호흡기가 다소 편안해지는 여름철이 오히려 보약을 먹기에 적당하다. 또 겨울이 되어서 감기에 잘 걸린다면 감기 증상이 없는 시기에 보약을 먹임으로써 이후로 감기의 빈도를 줄인다거나 심한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체질적으로 허약한 아이들의 경우에는 계절에 상관없이 보약을 복용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합리적 방법이다. 허약아의 경우 체형에 따라 마른형과 비만형으로 분류되는데 마른형은 몸에 열이 많거나 몸의 구성성분인 음(陰)과 혈(血)이 부족하여 허약해 질 수 있고 비만형의 경우는 몸 안에 있는 불필요한 물질(濕痰; 습담)로 인해 대사가 순조롭지 못하여 체구와는 상관없이 항상 피곤하고 무기력해 하는 경우가 많다. |
이전글 | 소아에게 한약 먹이기 |
다음글 | 발달장애와 한의학 |